컴퓨터 상식 : 글자체 & 컴퓨터 관리에서 서비스
방금 우연하게 평소에는 잘 들르지도 않는 제 홈페이지에서 게시판을 살피던 중 재밌는 정보를 찾았습니다.
댓글에 있는 내용이 특이하여 실행해본 결과 재밌기에 아예 댓글을 포함하여 포스트 내용까지 포함시켜 여기에 올립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제목 : 컴퓨터 정보
[글자체]
1. 포인트 : 1인치(25.4 mm)을 72로 나눈것(1pt=0.351mm).
첨자 : 가로와 세로의 비율은 1 : 1, 전각문자의 1/4 크기.
장평 : anas자의 세로에 대한 가로 크기의 비율.
줄(행)간격 : 윗줄과 아랫줄의 간격으로 단위는 줄에서 크기가 가장 큰 글자를 기준으로
간격을 조정하는 비례 줄 간격 방식을 디폴트로 제공한다.
2. 화면상에 픽셀의 색상을 트루컬러(True color)로 표현할 때 필요한 비트수 : 24비트.
3. 글꼴 : 비트맵(bitmap), 트루타입(truetype), 벡터방식(Vector),
아웃라인(Outline) 오픈타입(Opentype).
Opentype : 외곽선 정보를 사용하며 높은 압축률을 통해 파일의 용량을 줄인 글꼴.
트루타입 : 마이크로 소프트 사와 애플사가 공동으로 개발 아웃라인(Outline)글꼴 형태로 확대해도
외곽선이 매끄럽다. 위지윅(WISIWYG). 윈도우 운영체제의 기본글꼴.
아웃라인 : 글꼴 모양을 매끄럽게 하기 위하여 몇 개의 점과 그것을 연결하는 선분과 곡선을
이용한 글꼴 <트루타입, 벡터방식, 포스트 스크립트(Post Script)글꼴.
벡터방식 : 글자를 점의 모임이 아닌 곡선이나 선분의 모임으로 그린 글꼴.
4. 포스트스크립트(PostScript) : 미국의 아도비(Adobe System)사에서 개발한
페이지 기술 언어(PDL : page description language). 매끄럽고 섬세한 고품질
글자체(font)와 도형의 이미지를 인쇄하거나 화면에 표시할 수 있게 한다.
포스트스크립트의 특징은 출력 장치의 해상도에 의존하지 않고 영어와 비슷한 명령어를 사용,
페이지의 배열을 제어하고 윤곽선 글자체(outline font)를 불러내어
그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점이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문자 크기 단위(절대크기) :
pt (포인트, 1pt=1/72 in)
in (인치, 1in=25.4 mm)
mm (밀리미터)
cm (센티미터)
pc (파이카, 1pc=12pt)
px (픽셀,1px=모니터의 1도트) :
중근이가 대충 계산해 보니까 pt에 대하여 75.7764% 쯤으로 보이더군.
문자 크기 단위(상대크기) :
% (기준이 되는 글꼴에 대한 퍼센트)
em (기준이 되는 글꼴에 대한 문자의 높이)
※ 참고 : 기준이 되는 글꼴이란?
웹 브라우저에서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는 글꼴의 크기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1. 마스타 2007-04-27 18 : 13 : 45
실행 : services.msc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컴퓨터 관리 서비스는
① 바탕화면에서 아이콘 '내 컴퓨터'를 마우스 오른 클릭하여 '관리'를 누르면 나옵니다.

② 작업표시줄에서 '시작'->'실행'에서 'services.msc' 입력하고 치면 더 간략하게 나옵니다.
